Seafarer's Voice

항해사 기관사 차이가 뭔가요?

부모님이 집안을 생각해서 전액 장학금이나 등록금 없는 학교를 가라고 하십니다.
그중 찾아보니 졸업 후 취업 잘되는 해양대가 있어서  질문합니다.
1. 항해사와 기관사의 장단점이 궁금 합니다.
2. 재학중 학과간 전과가 되나요?
3. 승선경험을 바탕으로 배내리면 선택할 수있는 진로는 어떤게 있나요?
조회 4935 댓글 11 공감 0 / 05.21 /  (68.223)
애국심의 농도
05.21 19:43 (115.162)
1. 탱커 일기사로써

개인적인 기관사 장점
1) 업무에있어 협동을 바탕으로 팀단위로 일할수있습니다.
개인으로 처리하는 일들도 있지만 대부분 팀단위로 일을 진행합니다. 자연스럽게 일을 배우고 자기할일을 넓혀갑니다.
2) 육상직을 간다면 좀더 넓은 직군으로 갈수있습니다.
전기계열 기계계열 기관계열 해사계열 등등 사회를 유지시키는 전반적인 시설에 진출 할수있습니다.
3)2번의 경우로 해외 이민이나 해외취직의 경우에도
좀더 넓은 직업군으로 갈수있습니다.
4) 상당히 깊은 학문을 실물로 접하고 운용및 관리를 하는것에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5) 일반적으로 데이워크라는 시스템으로 휴일이 존재하며
쉬는 시간이 많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점
1)육상직으로 전근시 끝판왕이라는 직종이 전무합니다.
 항해사는 도선사라는 직군이있습니다.
그런데 도선사라는게 한국에서만 특별하지 싱가폴,중국에서는
그냥 도선사 전문대같은곳에서 양성중입니다.
한국도 결국 그렇게될거라 생각되네요.
2)엔지니어로서 승선근무시 받을 스트레스가 엄청많습니다.
기계의 트러블이생기면 해결을위해 엄청난 육체적 피곤함과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수있고.
탱커선의경우 각종검사 메이져수검등등 추가적인 스트레스가 존재합니다.
3)회사의 유지관리 예산에따라 극과 극의 업무강도가 존재합니다.

2. 재학중 기관항해 전과됩니다.

3. 항해사기준 ㅡ 해무감독,각종부두관리원,화물감독,인사과 도선사 항만청관련, 메이져 검사원 등등
  기관사기준 ㅡ 도시의 각종 필수시설 관련 모든곳.
한수원,각종 기계관련산업 각종 기관관련산업 해사관련 공무감독, 메이저검사원, 항만청관련 등등
각 직업군에 필요한 자격증만 있다면 가능하다고봅니다.

ㅡㅡㅡㅡㅡㅡ
제가 고삼때도 글쓴이처럼 고민했던 기억이나네요.
저는 기계를 다룬다는것에 멋있음을느끼고 엔지니어라는 것에 막연한 로망을가지고 기관계열을 선택했습니다.

힘든일을 할때는 왜 항해쪽을 선택안해서 이렇게 고생하나 후회도 하고 했습니다만.
항해쪽도 나름 고단함이 있습니다.

자신이 육체적인 활동함에 거리낌이 없고
기계쪽 엔진쪽에 관심이있다면 기관쪽 선택해도
크게 후회 없을겁니다.
05.21 20:13 (49.185)
배에서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선장이 집니다.
어떤 사고가 생기더라도 선장은 책임이 있습니다.

선장이 어떤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안끼쳤다고 하더라도
결국 선장에 책임이 전가됩니다.

도선사를 하려면 선장 승선을 필수 몇년을 해야됩니다.

한국에서는 도선사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최상위직군제외 기관계열이 육상직에 메리트있다고 보이네요
05.21 20:19 (49.185)
일반대학에 비해 졸업하면 취업은 거의 확실해요. 승선생활이 적성에 맞으면 계속 타도 나쁘지 않아요. 나는 현직 일항사.
05.21 20:56 (223.19)
많고 많은 차이가 있죠
전과안됩니다
본인의 능력에따라 무한정으로 갈 수있죠
05.21 22:17 (206.15)
1 차이점
항해사 ( 항해시 항해와 화물 담당)   >  선박에서 최종 진급 선장
가관사 ( 항해시 기관과 정비 담당)  > 선박에서 최종 진급 기관장
2. 전과 :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음
3. 승선경험기준 진로
   - 항해사 :   해운회사 해무. 화물감독 등 전문직 , 화물브로커 , 용선브로커, 선박매매 브로커, 도선사, 선원공급회사 등등
   - 기관사 :   다양한 엔지니어 분야 조선소, 수리조선소, off shore, 발전소, 선급, 벙커링, 선박 도료, 윤활류 판매 회사 등등
   - 항해 .기관 경력자 중  해운회사를 직접 설립하여 해운회사 오너가 된 경우도 많음.
   - 해경이나 해수부에 근무하는 항해.기관 경력자도 다수 있음.
05.21 23:41 (19.201)
기관과는 배에서도 육상직 가봐도 돈 안되는 노가다에 지방 현장직 뿐 ㅋㅋ
항해과는 같은돈을 벌어도 운항, 화물감독, 인사, 도선사, 메이저 검사관, 항만 등등 대부분 사무직에 서류업무, 특히나 영업부서는 돈도 많고 부서간 우위에 있고 서울근무도 가능하니 항해과로 가세요~ 특히나 힘든 작업과 과다 업무로 일기사 직급은 20년 째 구인 대란이라 승선 교대도 잘 안되고 휴가도 짧고 다들 일찍이 그만 두는 이유
05.23 05:19 (240.174)
ㄴ ㅈㄹ똥을싸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5.23 14:33 (121.229)
ㄴ 우물안 개구리 ㅋㅋ
그것밖에 안보이지니까 그것만 알고 있지
06.09 00:08 (68.138)
서로 장단점이 많아서 쉽게 설명이 어려워요~ 홈페이지나 학교에 찾아가 보시는 것도~
05.23 15:54 (212.34)
배오래 탈꺼면 항해사 하시고 짦게 탈꺼면 항해사 하세요.... 기관실 50도에서 2시간 일하고 나면 헐떡이면서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나 자기도 모르게  반성하고 있습니다...
09.16 16:35 (98.252)

번호 제목 조회 댓글 공감 작성일 작성자
공지 Seafarer's Voice 관리규정 안내 5173 6 9 04.19 관리자
공지 VesselReport AI - 본선에서의 쉽고 빠른 사고보고서 자동생성 2330 10 12 06.11 관리자
965 여성해기사는 왜 공짜로 배를 타는가? 216 3 1 08.11 (59.215)
964 단기승선자리? 243 6 2 08.10 (241.108)
963 유독 한사람만 존경받는 이유 309 5 6 08.08 (237.70)
962 나이제한 있을까요? 435 11 3 08.06 (146.31)
961 선원의 처우개선 물건너간건 강성노조가 안되서임 610 10 6 08.03 (99.30)
960 수산대 취직 여쭈어봅니다 322 7 2 08.03 (202.195)
959 비교 부탁 드립니다(정보 공유) 326 2 1 08.03 (188.177)
958 국내 선사 순위 질문 505 2 0 08.03 (142.218)
957 컨테이너선 3기사들.. 266 1 0 08.02 (112.26)
956 [호주 거주 (전)해기사 분들을 찾습니다] 418 7 3 08.01 (110.105)
955 선박안전관리사 모집 공고는 어디서? 482 6 1 07.25 (84.154)
954 ㅅㅈ해운 근황 1023 6 4 07.24 (240.172)
953 20살 대학생입니다 462 9 0 07.24 (19.64)
952 SK해운 구인공고가 하나도 안나오는데 회사 망했나요? 1078 4 5 07.23 (255.3)
951 취업후 승선대기 1041 9 7 07.16 (189.171)
950 주니어 취업 745 1 1 07.14 (77.137)
949 킹승주 선장님의 신작 도서가 발매되었습니다. 823 7 4 07.11 (59.215)
948 2024. 4. 선원인권 게시글 관련입니다. 691 15 51 07.08 (47.137)
947 해운업계는 여성을 버렸다!! 740 3 1 07.07 (189.1)
946 안녕하세요~ 해기사 출신 육상직 및 선원 반말 톡방 방장입니다~ 740 3 0 07.07 (24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