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farer's Voice

당신은 월간 며칠의 유급휴가를 보상받기를 원하시나요? 현재 만족하시나요?

선원법상 월간 6일(원양선), 5일(연안선)의 유급휴가를 주도록 되어있습니다.
현재 원양선사의 대부분은 월간 8일의 유급휴가를 줍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른 육상직원은 토요일, 공휴일, 연차까지 더해서 월평균 11.5일을 쉽니다.
선원도 주5일제를 적용받고 있지만, 야간근로, 휴일근로, 시간외근로, 연차에 대한 보상은 제대로 받지 못한채 8일로 단체협약에 사인하였습니다.

당신은 월간 며칠의 유급휴가 보상으로 만족할 수 있나요? 보상차원의 유급휴가이므로 육상 일반 직장인의 휴무일보다 더 많아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 달아봅시다!
조회 1806 댓글 11 공감 0 / 11.15 /  (57.251)
3on 3off
휴가 길이도 있지만 휴가 주기가 더 중요하다
11.15 14:54 (28.189)
급여가 같다면 그말이 맞죠
11.15 15:14 (205.186)
오버타임비를 급여에 넣어줬다고 하니 법적으로 주어진 8일 말고는 받을 수 있는게 없죠~
이 모든게 포괄임금제라는 개떡같은 논리에도 한몫합니다.
노동법 상은 불법이라고 해놓고, 막상 포괄 임금제로 재판하면 지죠~

돈은 육상보다 좀 더 줄지 몰라도 그만큼 가족과 생이별하고 휴일수도 육상보다 딸리니
마져 못해 회사에서 주는 건데 수십년이 지나도 개선이 안되는 모습보니 참으로 씁쓸하네요~
11.15 15:15 (52.237)
정확히 짚고 넘어가자면,

선원법상 유급휴가는 5일
선원법상 15일 이내 기항하지 않는 선박은 추가 1일
선원법상 주휴일은 갈음하여 추가 1일

즉, 선원법상 유급휴가는 최소 6일에서 15일 이내 국내항을 기항하지 않으면 최대 7일을 줘야 합니다.

여기서 보통 선사에서 8일을 주는 이유는 노사합의 사항 때문인데, 09년도 외국선원 승선에 관련한 노사 합의사항으로 한국선원의 일자리 보장을 사유로 합의 한 내용으로 추가 1일을 주기 때문에 총 8일(8일이 기본이 된 이유)을 주고 있죠.

여기서 각 선사마다 복지차원에서 9일, 10일, 11일 등 추가로 유급휴가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야간근로는 윗분이 달아주신 댓글과 같이 시간외수당을 법적으로 정해진 테두리안에서 지급하고 있으니 문제 없고..

휴일근로는 위에 언급 드린 바와같이 선원법에 포함 됨

... 각설하고.

선원의 유급휴가 일수는 육상과 비교할 순 없겠지만 매우 적죠.. 이 부분은 저를 포함한 승선하는 선원들이 힘을 모아 계속해서 이야기를 해야 들어줄까 말까 일까 싶습니다..
11.15 16:07 (209.134)
휴가일수가 8일이던 11.5일이던 그게 무슨상관입니까?
어차피 회사에서 배타라고 휴가 다 못쉬고 타는 마당에...
11.15 21:16 (0.194)
ㄴ 회사에선 남은 유급휴가를 정규직은 1.5배.. 계약직은 모두 지불했다고 눈속임 하겠죠..
11.16 09:21 (209.134)
정규직에서 휴가일을 계산할때 원래 일요일만 제외하는 건가요? 토, 일 같이 제외 하는 건가요?
예를 들어 11월 16일 하선했다고 했고 승선일 고려하여 부여받은 휴가가 30일이라고 하면, 공휴일, 일요일 토요일 을 빼고 카운트가 되는건가요 아님 공휴일, 일요일만 빼고 카운트가 되는게 옳은가요?
11.16 11:51 (175.154)
육상 직원들은 눈에 보이는 월급이 자기들보다 많으니 선원들 돈 많이 받는다는 헛소리를 하죠. 세상에 아직까지도 20년전 월급과 휴가의 차이가 이정도 밖에 안된다는 사실에 놀랍기만 합니다. 기존 한국 일반인 기준 주6일제에서 5일제로 바뀐지도 한참 전이고 이제는 4일제까지 들먹이는데, 거기다가 육상 월급은 20년전과 두배가까이 올랐는데 선원은.....
이러니 선원이 없는 것입니다. 다른 이들은 이런말을 하죠, 한국 선원 없으면 외국선원쓰면 된다. 월급도 외국선원이 싸게 먹힌다.. 그건 할말이 아닙니다. 같은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으로써, 그렇게 치면 당신들도 월급이 적은 다른 나라 사람으로 바뀌면 됩니다. 해운업계에서 함께 일해야지.쯧쯧....
11.17 09:25 (226.92)
ㄴ 정말로 외국 선원이 좋아서 외국 선원 쓰면 된다 이런 사람은 거의 없죠. 그냥 어그로 끄는 병신들이 대부분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ㅎㅎ
11.18 09:32 (36.139)
ㄴ 얘 머래...
해기사가 뭐라도 되는거 같냐
미쳤구만
01.07 22:56 (160.7)
선원 나부랭이 누가 챙겨준다고 유급휴가를
없어질 직업 선주들이 다 알아서 없애줄껀데
12.27 19:23 (170.208)

번호 제목 조회 댓글 공감 작성일 작성자
공지 Seafarer's Voice 관리규정 안내 4979 6 9 04.19 관리자
공지 VesselReport AI - 본선에서의 쉽고 빠른 사고보고서 자동생성 1940 10 12 06.11 관리자
916 나이 30대 후반 222 6 1 05.05 (153.29)
915 HMM, HOS 현직자분께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59 0 0 05.03 (134.21)
914 선박매매 중개 401 7 1 04.29 (250.142)
913 안녕하십니까 HY(한국야쿠르트) 멀티영업팀 담당입니다. 482 6 0 04.28 (118.177)
912 요즘은 이런새끼들도 배탐? 1626 14 0 04.21 (137.252)
911 [칼럼] 일부 공무원들의 규정에 갇힌 행정 ... "책상 넘어 국민의 삶을 직시해야" 432 7 16 04.16 (197.174)
910 선내 본드비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680 10 5 04.16 (203.217)
909 해사고생 한계 1175 3 3 04.13 (8.235)
908 크루즈 식자재 공급업체 문의드립니다. 402 0 0 04.09 (117.72)
907 제30회 바다의 날 기념, 대국민 릴레이 콘텐츠 공모전 개최 240 0 0 03.26 (3.161)
906 대한 해운 LNG선박 2기사 실수령궁금합니다. 1300 2 8 03.24 (128.84)
905 컨테이너선 신조인수시 1항사 점검사항 651 7 6 03.20 (75.196)
904 육상직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953 5 0 03.19 (89.134)
903 존경하는 육상직 직원분들 954 4 1 03.19 (16.138)
902 조리수와 조리원에 질문있습니다. 318 1 2 03.19 (140.131)
901 갑판/기관 에대해서 525 7 0 03.18 (84.46)
900 게시판 실명화 465 9 9 03.17 (78.196)
899 3항사 대형선사 나이제한 질문입니다 937 10 0 03.15 (159.19)
898 바르질라코리아 현직자 848 1 0 03.14 (141.204)
897 스스로에게 부끄러운 사람이 되지 말자. 593 5 12 03.14 (167.171)